재테크, 투자/나만의 투자 철학 (끄적끄적)

[투자 철학] 나에게 투자란 무엇인가? - ver.04

davidso13 2025. 2. 1. 11:35
728x90

2021년 여름부터 매년 투자철학을 작성했다. 내가 똑똑하지 않은 사람이라는 증거는 바로 4번째 만에 이 루틴을 까먹었다는 점이다. 하지만 괜찮다. 다행히 연초에 정신없이 회사 일을 하고 이제 조금 여유가 생겨 투자철학을 작성하게 됐다. 이 또한 얼마나 행운인가.

 

우선 1년 반의 시간을 복기해보면 참 정신없이 달려왔다. 회사도 열심히 다니며 돈도 열심히 모으고 투자도 치열하게 하고 연애도 치열하게 했다. 엄청나게 성장한 듯한 느낌은 들지 않지만, 그래도 조금조금씩 앞으로 나아가고 있는 거 같다.

 

1. 투자 복기

(1) 검단 분양권 취득 (Good)

지난 투자철학 글에서 ‘25~26년경 6억 이하의 아파트를 매수하겠다는 계획을 세웠고, 운이 좋게도 ‘23년 10월에 검단신도시 전용84 분양에 당첨됐다. ‘26년경 입주예정이라 그 전까지 자본, 대출계획을 잘 세워야 한다. 운이 너무 좋았다. 다만 임장과 부동산 관련 공부는 꾸준히 하자.

 

[투자 철학] 투자 복기와 회사에 대한 고찰 - ver.03

2021년 여름, 내가 좋아하는 사람들과 만나 생산성 있는 이야기를 나누며 나만의 투자 철학을 작성하기 시작했다. 어느덧 2년이라는 시간이 흘러 2023년이 되었고 3번째 이야기를 적어보고자 한다.

davidso13.tistory.com

 

(2) 자본 1억 달성 (So, so)

최초 목표로 삼은 자본 1억을 달성했다. 원래는 작년에 달성해야 했지만 그래도 1년이 늦게 달성했다. 이제는 2억을 향해 더 달려가야 한다.

 

(3) 투자 메이트, 사업에 대한 준비 (Bad)

투자 메이트는 회사 일부 친구들 빼고는 외부에서 만들지 못했다. 아 회사 부동산 선배들이랑은 좀 친해졌다. 사업에 대한 준비도 냉정하게 이야기하면 잘 하지 못했다. 회사 일에 매몰되느라 집중하지 못했다. 투자 메이트, 사업에 대한 준비, 이 2가지는 2025년에 더 발전시켜야 한다.

연 투자 수익률 (2020~2024)

 

2. 포트폴리오 변화 (집중, 단순화)

■ ‘21년 현금성 자산 4 : 해외주식 4 : 국내주식 2

■ ‘22년 현금성 자산 5 : 해외주식 3 : 비트코인 2

■ ‘23년, ‘24년 현금성 자산 2~4 : 해외주식 및 비트코인 4~6 : 국내주식 및 채권 2 (cf. 금, 원자재. 환차익 등등)

 

‘24년과 ‘25년의 포트폴리오 타겟은 기본적으로 ‘23년과 다르지 않다. 여전히 현금 30% 정도를 보유하는 게 좋고, 채권에 10~20% 비중을 가지고 있는 게 좋다고 본다. 하지만 ‘24년말과 ‘25년초 실제 투자 운용에서 바뀐 점이 있다.

 

(1) 암호화폐 집중투자

우선 현재 자산 기준으로는 암호화폐(가상화폐)가 약 8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너무 과하지 않은가 싶긴 하지만, 점프업할 수 있는 투자라고 생각하여 과감하게 투자하고 있다. 암호화폐에 많은 비중을 투자하기 시작한 기간이 ‘23년 여름부터라 워낙 평단이 낮아서 비중을 많이 가져가도 크게 부담이 없다.

 

(2) 주식은 ETF와 대형주 위주로!

주식투자를 4년 정도 열심히 한 결과, 나는 개별주식을 통해 시장수익률을 이길 수 있는 확률이 극히 적은 사람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그래서 앞으로 주식은 패시브 ETF와 대형주 위주로만 투자하려고 한다. 주식에서는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이 아니라, 로우 리스크 로우 리턴을 추구하려고 한다.

 

3. 회사 그리고 사업

단기적으로는 1~2년 내로 현재 회사를 퇴사하려고 한다. 회사에 있으며 생각이 드는건 내 창의력과 도전정신을 갉아먹는 곳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회사 퇴사 후에는 2가지 정도의 경험을 하려고 한다.

 

첫째는 해외에서 일해보는 경험이다. 워킹홀리데이나 해외취업을 통해 해외에서 일을 해보며 식견을 넓히는 경험을 가지려고 한다.

 

둘째는 내 사업을 본격적으로 진행해보는 것이다. 현재로써는 블로그와 유튜브 생태계를 활용한 물품판매, 요양원이나 실버케어 연관 서비스 등이 있다. 진짜 올해는 꼭 해보자!

 

4. 건강의 중요성

24년에 일어난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는 바로 건강의 중요성에 대한 큰 깨달음이다. 회사 일에 집중하며 안 좋은 자세로 있다보니 목디스크 초기 증상이 왔다. 재활의학과와 필라테스를 받으며 치료 중이지만 정말 정신적, 신체적, 시간적 아픔이 크다. 나이가 들수록 꾸준히 운동하고 스트레스를 덜 받고, 잘 먹는게 중요하다고 하던데, 왜 그런지 절실히 깨달았다.

 

그래서 앞으로 헬스보다는 필라테스, 유산소, 수영 같은 운동들을 중점적으로 하려고 한다. 그리고 날이 따뜻해지면 산책은 습관처럼 거의 매일매일 하려고 한다. 건강이 정말 중요한 거 같다…

 

5. 결혼을 바라보는 관점

내 나이 31, 만 29이지만 부정할 수 없는 30대다. 결혼을 해도 전혀 이상하지 않을 나이다. 어렸을 때는 결혼을 빨리 하고 아기를 나아 애기의 초등학교 운동회에 건강하고 젊은 아빠로 보이고 싶었다. 우리 부모님이 그랬듯이… 근데 이제 나이가 들었다. 하지만 결혼에 대한 생각은 아직도 여전히 가지고 있다.

 

단 중요한 것은 결혼이 하고 싶은 시기라서 사람을 만나서 결혼하면 후회하게 될 거 같다. 결혼을 안해봐서 잘 모른다고 이야기할 수도 있지만 지금 마음이 그렇다. 우선 내가 결혼을 생각할 만큼 좋은 사람을 만나 연애하는 게 우선이다. 생활력, 경제력, 독립심을 가진 여자를 만나 연애를 하자! 그리고 결혼에 조급해하지 말자! 늦게 하든 빨리 하든 나랑 앞으로 60년 살아갈 사람을 선택하는 과정이다. 5년이 늦어도 60년 동안 잘 살면 55년이 행복하지 않나!

 

마무리

지난 3년간의 투자 철학 글을 다시 읽어보며 참 많은 생각이 들었다. 그 중 가장 크게 든 생각은 3년 동안 치열하게 고민하고 투자했던 나에 대한 자부심이다. 참 많은 고민과 생각이 있었던 시기였다. 물론 지금도 그렇긴 하다.

 

지난 3개의 글과 이번 투자철학을 비교해보면 주식/코인/부동산 투자에 대한 글의 비중이 줄고, 사업/건강/결혼에 대한 글의 비중이 늘었다. 점점 자본적인 여유를 비교적으로 갖게 되고 나이가 들면서, 주식/코인/부동산 투자 등 돈을 직접적으로 가져다주는 투자의 성공도 중요하지만, 사업/건강/결혼과 같은 인생에 대한 투자가 더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아마도 나이가 이제 31라 그런 거 같다.

 

사업/건강/결혼에 대한 생각을 잊지 말고 2025년을 살아가는 내 자신이 되기를 바란다.

 

가장 똑똑한 사람은 내가 모르는 지식과 부족한 점을 알고, 이를 인정하며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이다.

22년 리드문구: 보이는 것보다 보이지 않는 흐름에 집중하자!

23년 리드문구: 보이지 않는 흐름을 파악하여 현실에 적용하자!

24년 리드문구: 보이지 않는 흐름을 파악하여 현실로 만들자!

25년 리드문구: 새로운 관점에 세상을 바라보고 창의성을 입히자!

반응형